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음악으로 읽는 세상] 파에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파에톤은 태양신 헬리오스의 혼외(婚外) 자식이다. 아버지 없이 어머니 손에서 자란 그는 어느 날 헬리오스를 찾아가 그가 모는 태양마차를 몰게 해달라고 조른다. 헬리오스는 마지못해 그의 부탁을 들어준다. 하지만 파에톤이 끌던 말들이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지는 바람에 온 세상이 불바다가 되고 만다. 보다 못한 제우스가 벼락을 내리치고, 파에톤은 바닥에 떨어져 그 자리에서 절명하고 만다.   생상스의 교향시 ‘파에톤’은 파에톤이 태양마차를 타고 으스대다가  바닥으로 추락해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그린 것이다. 음악은 짧지만 강렬한 서주로 시작한다. 그런 다음 마차가 달린다. 말들이 질주하듯 음악도 일정한 템포로 위로 올라갔다가 아래로 내려온다. 이때까지만 해도 파에톤의 태양마차는 리드미컬하게 제 궤도를 달리고 있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말들이 요동치기 시작한다. 말들이 난무하듯이 음악도 난무한다. 통제 불능에 빠진 말들이 연출하는 우주의 난장판 쇼가 펼쳐진다. 한바탕 쇼가 펼쳐진 후 음악이 잠시 소강상태에 접어든다. 이 느리고 조용한 분위기는 잠시 뒤에 일어날 파에톤의 재앙에 대한 불안감을 표현한 것일까. 아니면 파에톤의 추락을 더욱 드라마틱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한 예비 음모일까. 곧이어 말들이 다시 난동을 부리기 시작하고 결국 파에톤은 추락하고 만다.   비록 죽음으로 끝날지언정 생상스의 음악 속 파에톤은 의기양양하고 역동적이고, 한편으로는 귀엽기까지 하다. 이 곡을 통해 생상스가 표현하고자 했던 파에톤은 결국 추락하고 마는 파에톤이 아니라 자신을 괴롭혀 오던 서자 콤플렉스를 마침내 극복하고 보란 듯이 아버지의 마차를 타고 의기양양 우주 공간을 질주하는 파에톤이 아니었을까. 속도감 있는 생상스의 음악은 파에톤이 펼치는 우주의 드라마를 경쾌한 기분으로 감상하도록 만든다. 진회숙 / 음악평론가음악으로 읽는 세상 파에톤 태양신 헬리오스 의기양양 우주 통제 불능

2024-08-26

[아메리카 편지] 서양의 나쁜 엄마

북미에서 기념하는 어머니날(5월 14일)을 보내며 동양과 서양의 어머니상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다시 생각해봤다. 오랫동안 고민해온 주제다. 어버이날 ‘하늘 아래 그 무엇이 넓다 하리요…’라는 노래 구절을 떠올리니 한국에서 보낸 어린 시절이 아름답게 느껴졌다. 어머니의 사랑과 희생을 인정·찬양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내 몸에 배어있는 것이다. 반면 외국 생활을 하면서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가끔 만난다. 나로선 이질감이 느껴진다.   어머니의 사랑을 절대적으로 여기는 우리와 상반되는 서구 전통이 있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비롯되는, 비참하고 앙심으로 가득 찬 어머니상이다. 그 중 대표적인 예가 바로 메데이아다. 남편 이아손의 배신을 참지 못해 복수의 결심을 하고, 이아손과의 사이에서 낳은 두 아들을 살해한다. 이아손의 씨를 말린다는 이유로 자기 자식을 직접 살해한 것이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에 등장하는 메데이아는 그러한 잔인한 결심에 대해 번뇌를 느끼기도 하지만 모성애는 복수심을 초월하지 못했다. 태양신 헬리오스를 할아버지로 둔 덕에 영웅의 자격 조건을 갖췄던 메데이아는 이런 끔찍한 일을 저지르고도 벌을 받기는커녕 할아버지가 보낸 금빛 마차를 타고 그 자리를 탈출해 재혼까지 한다.   황당하기는 두 자매 프로크네와 필로멜라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프로크네는 남편인 테레우스가 필로멜라를 범하고 말을 못하게 혀를 잘라버리자, 필로멜라와 힘을 합쳐 자신과 테레우스의 아들인 이티스를 죽인다. 그리고 이를 요리해 테레우스에게 먹였다.   아무리 과장된 이야기라 해도 종종 이렇게 잔인한 엄마들이 등장하는 그리스 신화를 뿌리로 둔 서양의 문화에서 모성애를 운운하는 맥락은 우리의 정서와 좀 다른 것 같다. 어머니의 사랑을 체계적으로 예찬하는 동양의 문화적인 슬기가 더더욱 마음에 다가온다. 김승중 / 고고학자·토론토대 교수아메리카 편지 서양 엄마 그리스 신화 고대 그리스 태양신 헬리오스

2023-05-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